2021년 국내 미술품 경매 시장이 3294억 원을 달성한 것으로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와 케이 아트프라이스(K-Artprice)가 발표했다.
해당 수치는 국내 미술품 경매 회사 8곳에서 2021년 1~12월에 진행한 고미술품부터 동시대 미술품까지 온·오프라인 경매를 통해 거둔 매출액으로 2020년 낙찰 총액인 1153억 원을 넘어서며 3배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인 2019년의 1565억 원도 훨씬 웃도는 수치이다.
출품된 미술품 총 3만 2,955점 중 2만2,235점이 낙찰돼 67.47%의 낙찰률을 보였다.
![](https://k-artnow.com/data/content/2024/09/6_5878a7ab84fb43402106c575658472fa.jpg)
© Seoul Auction.
낙찰 총액 1위 작가로 일본의 전위 예술 운동인 모노(物派)파의 토대를 마련한 이우환 작가(b. 1936)가 작년에 이어 다시 한 번 이름을 올렸다. 작품 거래 총액은 약 395억 원으로 507점 중 414점이 낙찰돼 낙찰률 81.66%를 보였다.
이우환 작가는 1984년 작 ‘동풍(East winds)’으로 지난 8월 한국 생존 작가 중 처음으로 30억 원을 넘겨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낙찰 총액 2위로 일본의 쿠사마 야요이 작가(b. 1929)가 약 365억 원을 기록했고, 김환기 작가(1913~1974)는 214억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상위 10위권 내에 들어선 50대 이하 젊은 작가로는 강렬한 색채로 낙서를 연상시키는 회화 작업을 하는 우국원 작가(b. 1976)가 이름을 올렸다.
![](https://k-artnow.com/data/content/2024/09/11_7ef605fc8dba5425d6965fbd4c8fbe1f.jpg)
Lee Ufan sitting on Relatum. Photo by Curtis Hamilton. ©ArtAsiaPacific
서울경제에 따르면 4 명의 국내 원로 작가들이 2021년에 새로운 경매가 기록을 세웠다고 전했다. 한국 전위 운동을 통해 추상미술의 영역을 확대한 유영국 작가(1916~2002)가 ‘영혼’(1965)으로 12억7000만 원을 기록했고, 물방울 그림으로 잘 알려진 고 김창열 작가(1929~2021)의 ‘물방울’(1977)이 10억4000만 원을 달성했으며, 단색화의 대표 작가인 박서보 작가(b. 1931)의 ‘묘법 No. 200~86’(1986)이 12억 원, 그리고 숯으로 작품을 하는 이배 작가(b. 1956)의 ‘불로부터 ch 29’(2003)가 4억4000만 원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https://k-artnow.com/data/content/2024/09/16_47d1e990583c9c67424d369f3414728e.jpg)
업계 관계자들은 전체 미술 시장에서 경매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을 30% 안팎으로 추산하며, 2021년 미술품 거래 총액을 약 9000억 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는 2020년 미술 시장 규모를 3849억 원,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는 4146억 원으로 집계해 2021년 국내 미술 시장이 급격한 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