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 따위를 구매하기 위해 매장이 열리기도 전에 밖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행위를 뜻하는 ‘오픈런’은 이제 명품 시장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최근 미술계에서도 ‘오픈런’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 달 개최한 화랑미술제에는 입장하기 위한 대기 줄이 너무 긴 나머지 접이식 의자를 가져오는 사람들이 등장했으며, 평창동의 한 전시에는 작품을 구매하기 위해 텐트에서 노숙까지 감행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도 예년보다 2배가량 많은 10만여 명이 방문하면서 입장 줄이 길게 이어졌다.


A long queue formed in front of the entrance of KIAF 2021, COEX, Seoul. Oct 13, 2021 – Oct 17, 2021. Photo by Aproject Company.

미술품을 구매하기 위해 ‘오픈런’을 하는 사람들은 주로 20-30대 젊은 컬렉터층이었다. 기존 주요 컬렉터층은 40-50대로 여겨졌으나, 이제 젊은 세대가 미술 컬렉션에 강한 관심을 보이면서 미술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20-30대에게 미술품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주체인 동시에 투자 대상이기도 하다. 이들은 미술품을 향유함으로써 새로운 경험을 하고 소통을 한다. 또한, 미술품을 유망한 투자 자산으로 여기기도 한다.


People lined up outside Print Bakery, Seoul. Photo by Jeong Sanghyeok. ©Chosun Media

기존 컬렉터층과 달리 젊은 세대는 블루칩 작품보다는 차세대 스타가 될 가능성이 있는 젊은 또래 작가들의 작품에 관심을 더 많이 보인다. 젊은 세대는 신진 작가의 정보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이 두 집단은 서로 비슷한 감각을 공유하고 있어 젊은 컬렉터층은 신진 작가의 작품에 더 공감한다.
또한, 젊은 미술 작가의 작품은 가격대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신진 작가는 인지도를 쌓게 되면 작품 가격이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투자하기에 좋은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다양한 업계에서 미술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특히 명품 매장이 들어선 백화점은 최근 몇 년간 20-30대가 명품의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이러한 소비 주체의 변화에 가장 먼저 반응했다.

20-30대의 관심사가 미술품으로 쏠리자 백화점 업계는 경매 회사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갤러리를 열어 직접 판매에 나서며, 미술 관련 행사를 개최하는 등 활동 영역을 미술 시장으로 넓히고 있다.


Installation view of "Dreaming Peace with Artist MeME" at the Blue Roof Lounge at L7 Hongdae by Lotte, Seoul. © Lotte Hotel

변화는 호텔 업계에도 일어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비즈니스 목적의 투숙객과 외국인의 유입이 급격하게 줄었지만, 그 빈자리를 젊은 세대가 채우고 있다. 호텔 업계는 지난 2년간 호텔에서 바캉스를 보내는, 이른바 ‘호캉스’를 즐기는 젊은 세대들이 매출의 70% 이상을 채웠다고 전했다.

새로운 소비층의 취향에 맞는 새로운 공간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호텔들은 아트 마케팅을 더욱 적극적으로 접목하고 있다.

강남의 모 호텔은 NFT 아트 갤러리 프로젝트를 펼쳤고, 다른 호텔은 MZ세대의 취향에 맞는 국내 팝아티스트를 초빙해 호텔 로비 내에 팝업 전시를 개최했다. 또한, 미술관과 협업해 패키지 상품을 내놓는가 하면 미술 관련 업체와 협업해 작품을 전시·판매할 수 있는 공간을 운영하는 호텔도 있다.


Seoul. Photo by Ping Onganankun on Unsplash.

미술 시장 호황으로 많은 아트 페어와 경매가 기록적인 판매 실적을 거두었고 한국 미술 시장 규모는 2020년 3291억 원에서 2021년 9000억 원 이상으로 성장했다.

전문가들은 20-30대가 미술 시장에 유입함으로써 성장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과거 40-50대가 주축을 이뤘던 미술 시장은 일정 시기에 도달하면 수입이 줄면서 구매력이 떨어졌다. 그러나 20-30대는 구매력이 상승하는 기간이 긴 만큼 미술 시장의 호황이 오래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젊은 컬렉터층이 미술품을 구매하는 주요 목적은 예술 향유보다는 재판매를 목적으로 한 투자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분석도 많다. 투자 목적으로 작품에 접근하면 단순히 인기만 보고 작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리고 작품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작품의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시장이 가라앉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이 오면 거래 절벽이 발생하게 된다.

많은 전문가들은 미술 시장이 일시적으로 성장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규모를 유지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예술사적으로 의미와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작품을 알아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주체적인 안목을 길러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

물론 미술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은 컬렉터들의 노력으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여기에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작가가 필요하며, 그러한 작가를 발굴, 육성, 홍보할 수 있는 갤러리, 그리고 다양한 미술 관련 기관의 전시와 교육 등 여러 노력도 함께 이뤄져야 가능하다고 말한다.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