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나(b. 1973)는 회화의 기본 요소인 색채와 형태에 대한 생산, 유통, 소비 방식과 환경을 집요하게 탐구해 왔다. 작가는 지난 20여 년간 이러한 일련의 조사 연구를 통해 시판되는 물감과 통용되는 도안을 수집하여 자신만의 시스템에 기반한 독창적인 회화로 표현해 왔다.
박미나의 작업은 색채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다. 그의 초기작 〈가을 하늘〉(1995)은 시판되는 물감을 이용해 최대한 작가가 지각한 색에 근접하도록 구현하는 작업이었다. 이를 위해 박미나는 한 달 동안 매일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자신이 바라본 하늘의 색감을 기록하고 이를 팔레트에 옮겼다.
박미나, 〈5〉, 2011 ©두산아트센터
그리고 1998년부터 박미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습용 색칠 공부 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작가는 종이에 그려진 형상의 테두리 안에 색을 채우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어 색을 칠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색칠 공부 드로잉〉(1998-) 시리즈는 달이나 해와 같은 도상들이 공통적으로 들어간 다양한 출판사의 색칠 공부 책을 수집하고 분류한 다음, 그 도상만 남겨 놓고 색으로 채우는 작업이다.
2013년에 선보인 색칠 공부 작업 〈12 Colors Drawings II〉는 해, 달, 별을 소재로 수집된 학습용 색칠 공부의 낱장에 12색 세트 색연필이나 여러 회사에서 대량 제작된 연필로 규칙적인 패턴을 채워 넣은 작업이다. 주제, 형태, 그리고 색채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본 작업은 기본색으로 분류된 12색과 흑·회색이 지닌 색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박미나, 〈오렌지 페인팅〉, 2002 ©경향신문
이후 박미나는 유통되고 있는 모든 물감들에 대한 수집과 연구로서의 작업 〈오렌지 페인팅〉(2002-2003)을
선보였다. 작가는 전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모든 오렌지색 계열의 물감을 수집하고 제조사 순서대로 분류하여
일정한 두께로 한 줄씩 캔버스에 그려 넣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채워진 캔버스의 상단은 마치 수평 구조의 모노크롬 회화와 같은 인상을 준다.한편 하단에는 선으로 도형화한 소파의 도상이 그려져 있음으로써 소파 뒤에 그림을 걸어 둔 집 안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유통되는 색채에 대한 작가의 관심은 비단 물감에 그치지 않았다. 2005년
코리아나미술관에서 개최된 단체전 “Cosmo Cosmetic”에서 작가는 화장품에 구현된 다양한 색감들을
수집해 종이 위에 기록하고 나열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박미나는 2005년
당시 코리아나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모든 립스틱과 아이섀도우를 수집하고 색과 명칭에 따라 분류했다. 이러한
‘색 수집’ 작업은 일상에서 경험한 모든 색채에 대한 치밀하고
정교한 조사, 수집, 연구의 과정으로, 작가의 주관은 최대한 배제되고 색에 대한 기호체계만이 표상된다.
박미나, 〈WwwFreshcopyrunntungddddfjMNMNPQEQ〉, 2008 ©두산아트센터
한편 2007년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에서의 개인전 “홈 스위트 홈(Home Sweet Home)”에서 본격적으로 선보이기
시작한 〈딩벳 회화〉 시리즈는 이미지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탐구를 보여준다.
딩벳(Dingbat)이란
알파벳이나 한글처럼 일반적인 문자가 아닌 간단한 이미지 또는 아이콘, 기호를 이용하는 소통 수단으로, 컴퓨터에 저장된 딩벳폰트를 일반글자에 입력하면 지정된 그림이 나오게 하는 시스템을 가진다.
박미나, 〈5'PIU;UVYQ〉, 2010 ©박미나
이미지-문자로서의 딩벳폰트를 새로운 회화적 언어로 도입한 이 작업은 특정한 딩벳 이미지와 특수 폰트들을 복합적인 정보에
따라 조합한 후 기호화된 형태의 단순한 구성방식으로 표현한다.
딩벳 회화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기호로서의 이미지가 화면에 조합되고 병치됨으로써 기표와 기의의 관계가
자의적으로 형성되는 현대 시각문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박미나의 또 다른 대표작 〈스크림〉(2001-2019) 시리즈는 도상과 주제에 기초해 색과 형태, 내용과 형식에 관한 배치와 연산을 연구하며 물감 자체의 산업적 질서를 드러낸다. 작가는 목젖을 드러내며 비명을 지르는 듯한 만화적 도상을 기본적인 틀로 삼아 색과 형태의 조합 방식을 변주한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진행해오던
박미나의 기존 작업과 달리, 〈스크림〉 시리즈는 작가의 서사가 숨어 있는 예외적인 작업이다. 작가는 작품마다 서로 다른 이야기를 떠올리며 색과 형태를 다채롭게 변주하지만,
정작 그것이 어떤 내용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작가는 〈스크림〉 시리즈에
대해 음악, 특히 한 주제로 높거나 낮은 음을 반복하여 구성한 음악 형식인 푸가와 비교한다. 〈스크림〉에서는 작품의 특정 요소를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한편, 이를
발전시키고 엮으며 작품에 의미와 내레이션을 추가하기 때문이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박미나는 〈오렌지 페인팅〉부터 시작된 색에
대한 수집-분류-기록 작업의 연장선으로, 주황색과 같은 유채색이 아닌 무채색인 검은색을 다루는 작업 또한 선보였다. 기존의
방식대로, 작가는 시판되고 있는 모든 검은색 펜과 유화 물감을 수집하고 특정한 규칙을 정해 이들을 목록화
했다.
예를 들어, 〈2014-Black〉(2014)은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검은색 유화물감을 수집하고 27.3 x 27.3
cm 크기의 55개 캔버스에 각각 색을 채워 나열함으로써 검은색끼리 비교, 대조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다.
다양한 제조사의 검은색 볼펜을 재료로 한 〈Black Pens〉(2006-2014)는 흔히 사용하는 A4 용지에 일률적인 간격으로
선을 반복해서 그은 드로잉 작업이다. 이렇게 완성된 498개의
드로잉 하단에는 펜의 상표와 고유번호가 적혀 있고, 작가는 이를 따로 목록화 한다. 이 작업은 색의 차이 뿐 아니라 볼펜 촉의 재질과 두께에 따른 질감의 차이까지 수반된다.
작가에 의하면 회화를 교육받을
때 먼저 시판되는 무채색으로 분류되는 검은색 물감은 사용하지 않고 여러 유채색을 조합하여 만들어 사용하도록 배운다고 한다. 그렇다면 여러 유채색이 섞인 검은색은 색상과 비율의 정도에 따라 모두 다른 검은색이 만들어질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작업은 그저 무채색으로만 인식해 온 검은색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뒤흔든다.
이처럼 박미나의 작업은 일견
단순하고 그래픽적 요소가 두드러지는 추상회화로 보이지만, 색채와 제품의 형태로 존재하는 현실의 단면을
회화로 기록함으로써 사회문화의 구조를 분별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오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방법론은
회화의 형식에 대한 새로운 비평적 대안이자 동시대의 사회학적 리서치로 평가받는다.
“범위나 규칙이 무엇인지 알아야 그걸 지킬지 깰지 선택할 수 있다.” (박미나, 작가 노트)
박미나는 1996년 미국 밴슨홀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가지고 2000년 인사미술공간의
그룹전 “릴레이 릴레이”로 한국 미술계에 데뷔했다. 2002년 쌈지스페이스 레지던시 4기 작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던
해 서울옥션하우스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검은”(페리지갤러리, 2024),
“집”(원앤제이 갤러리, 2023), “아홉
개의 색, 아홉 개의 가구”(아뜰리에 에르메스, 2023), “왜 빗방울은 푸른 얼굴의 황금 곰과 서커스에서 겹쳤을까?”(시청각, 2022) 등이 있다.
또한 작가는 서울시립미술관, 금호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일민미술관, 삼성미술관 플라토,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두산갤러리(뉴욕, 미국), 국제현대예술센터(로마, 이탈리아) 등 국내외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으며, 작품 소장처로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일민미술관 등이 있다.
References
- K-ARTIST.COM, 박미나 (K-ARTIST.COM, Park Meena)
- 국제갤러리, Grey & 12 (Kukje Gallery, Grey & 12)
- 아뜰리에 에르메스, 아홉 개의 색, 아홉 개의 가구 (Atelier Hermès, Nine Colors & Nine Furniture)
- 두산아트센터, Gray Sky (DOOSAN Art Center, Gray Sky)
-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홈 스위트 홈 (Project Space Sarubia, Home Sweet Home)
- 페리지갤러리, 검은 (Perigee Gallery, Bl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