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갤러리정미소(서울, 한국)에서 개최한 두 번째 전시《모든 입 다문 것들의 대화》부터 개인적인 기억을 재료로 심리적 풍경을 그려낸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아라리오갤러리와 전속 계약 이후 백아트갤러리(로스앤젤레스, 미국), 에드윈스갤러리(자카르타, 인도네시아), 트라이엄프갤러리(모스크바,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작품이 소개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2020년 아라리오뮤지엄인스페이스(서울)에서《사각(死角)》이라는 제목으로 전시했다.
그룹전 (요약)
국립현대미술관(서울), 주벨기에 한국문화원(브뤼셀, 벨기에), 서울시립미술관(서울), 환기미술관(서울), 인디프레스갤러리(부산), 아메리칸대학교박물관(워싱턴, 미국), OCI미술관(서울), 일민미술관(서울) 등에서 전시에 참여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과천), 서울시립미술관(서울), 경기문화재단(수원), 포스코미술관(서울), 경남도립미술관(창원), OCI미술관(서울), Nesrin Esirtgen 컬렉션(이스탄불, 터키) 등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주제와 개념
이진주의 회화는 일상의 사물과 풍경을 매개로 기억을 탐구한다. 작가는 끈질기게 자신을 사로잡는 기억들을 반복해서 들여다보고, 기억으로부터 포착된 감각을 심리적인 풍경으로 그려낸다. 수수께끼 같은 그림 속에 있는 것은 조용한 파국, 때로는 고통스럽고 잔혹한 현장이다.
그림에 등장하는 사물들은 일상적이고 사소한 것들, 입는 것이나 먹는 것들, 사용해서 닳거나 없어지는 것들로 우리가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과 장소들을 본뜨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이야기 구조와 인과 관계가 결여되어 관람자는 마치 비현실적인 상상의 세계에 진입한 듯한 체험을 하게 된다.
그림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설명하거나 부분들 간의 논리적인 연속성을 짐작하기는 어렵지만, 이진주의 그림은 관람자의 시선을 빼앗는 힘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림 속 자그마한 사물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궁리하게 되고, 인물들의 행위를 쫓아가며 그 내면을 들여다보게 된다.
이 강력한 회화적 힘은 놀라울 만큼 사실적이고 정밀한 형태와 질감의 표현에서 온다. 동양화 매체를 사용하는 작가의 정교하고 세밀한 묘사력은 초현실적일 만큼 불분명하고 모호한 상황들을 너무나도 선명한 감각으로 그려낸다.
사실적인 외형의 인물과 사물들로 이루어진 낯선 세계는 작가가 자신의 일상과 기억으로부터 끌어올린 사유들을 담고 있다. 인간의 지식이나 믿음의 영역과 그 경계에 대한 의문, 기억이 작동하는 방식, 사회적 사건들, 가족과 죽음에 대한 생각, 마당 있는 집의 풍경, 말로 옮기기 어려운 과거의 트라우마 같은 것들. 그 파편들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유기적인 하나의 화면을 만들어 낸다. 작가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것은 심상인 동시에 현실에 맞닿아 있는 세계이며, 그 전모를 알 수 없는 이야기들이 무한히 반복되고 이어지는 예측할 수 없는 장소이다.
“심리적인 주관의 세계를 그리긴 하지만 동시에 모순되게도 나는 나의 현실, 이 세계의 현실을 담고 싶다.”
이진주의 작품은 이성적인 언어나 사회적인 규범들이 언제나 감추고 숨기려 하는 우리의 불안한 실존을 그려낸다. 이따금 우리는 기억이나 상상 속의 세계로 잠시 도망치지만, 그것들은 현실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닌 현실로부터 온 것들이다. 이진주의 회화는 계속해서 기억을 불러오고 어루만짐으로써 현실을 직면하고, 함께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과 공감하고 소통하기 위한 작업이다.
형식과 내용
우리의 언어와 사고가 완전하지 않은 것처럼 기억도 망각되고 유실된다. 이진주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현재가 덧붙여지는, 기억이 왜곡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고요하고 정제된 작가의 그림에서 우리는 말하지 않는 인물들의 몸과 살갗, 손이나 절단된 신체를 보게 된다. 화면 이곳저곳에 반복해 등장하는 인물들로부터 그림 속 이야기가 비선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작품 속 사물들은 사물 자체보다는 그것이 촉발하는 감각이나 기억을 표현하는 것에 집중된다. 오직 작가만의 사적이고 내밀한 감각으로 선택된 사물들의 의미는 알 수 없는 것으로 남겨지고, 우리는 다만 그것이 무엇의 알레고리인지 추측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이진주는 정밀하고 꼼꼼한 묘사를 위해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기울인다.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해서 심상의 이미지와 유사한 형태의 실제 사물을 구하거나 만들고 있다. 동양화 매체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전통 방식만을 고수하기보다는 작업의 성격에 맞추어 적절하게 재료를 바꾸어 선택한다.
동양화에서의 채색화는 보통 장지를 사용하지만, 준비하는 공정을 간단히 하고 스케치를 수정하며 작업하기 위해 광목천을 지지체로 사용하고 있다. ‘블랙 페인팅’ 시리즈(2017~ )에서는 더욱 극적인 연출을 위해 여러 차례 실험을 거쳐 높은 채도와 매트한 질감이 극대화되도록 직접 물감을 새롭게 배합했다.
이진주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공간성 또한 인상적이다. 인물들이 자리하고 있는 땅은 부유하는 듯이 보이고 무의식의 영역처럼 보이는 지하 공간을 감추고 있다.
조각난 대지는 커다란 행성이나 무한한 영토의 일부분을 떠낸 것처럼 보이는데, 작가는 세밀한 원근법으로 평면 위에 입체적인 무대를 만들어 낸다. 빛의 명암 없이 균일한 밝기의 선명함이 화면 전체를 채우고 있으며, 모든 요소들은 일관된 비례와 시점을 유지하며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지형도와 지속성
이진주는 2014년 두산갤러리 뉴욕(뉴욕, 미국)에서 개최한 미국 첫 개인전에서 전통적인 동양화의 기법과 현대적 감성이 접목된 동시대 회화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프랫 인스티튜트(뉴욕, 미국)에서 미술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국제비평가협회(AICA-USA) 이사회 임원을 역임한 도미닉 나하스는 이진주의 작품이 놓쳐서는 안 될 매혹적인 감상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특유의 스토리텔링과 현실과 비현실이 뒤섞인 환영적 화면은 이진주만의 독창적인 영역을 만들어낸다. 또한 동양화의 납작하고 매트한 표면 질감은 서양화와는 다른 매력을 가진다.
이진주는 광목천과 분채 안료 등의 동양화 재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동양화에서의 여백이나 시점의 이동과 같은 요소를 화면 구성에 적용하기도 한다. 셰이프트 캔버스를 활용하거나, 전시 공간을 주의 깊게 계획하여 전시장 벽 자체를 작품의 여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구조물을 써서 눈높이의 회화를 입체적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설치 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대형 회화가 A자 구조로 놓이는〈사각〉(2020)은 어디에서도 전체 화면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작업이다.
관람자가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움직이며 회화 속 대상들을 따라가야 한다. 이러한 유도는 동양화의 긴 두루마리 그림을 감상할 때 발생하는 시각적 경험과 유사한 관람자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이렇듯 다양한 실험을 거듭하는 이진주의 작품 세계는 전속 화랑인 아라리오갤러리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국제적으로도 활발하게 소개되고 있다. 이진주의 작품은 전통적이면서도 가장 현대적인 동시대 회화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
그 매체적 특성과 뛰어난 시각적 완성도는 세계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을 가진 요소들이다. 끊임없이 변주하며 한국적인 회화의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나가고 있는 작가의 활동이 기대된다.
Gallery_Exhibition
“13번째 망설임” 2022년 3월 27일까지 아라리오갤러리 천안에서 개최
2022.01.10
A Team
"The 13th Hesitation," Arario Gallery. Photo by Aproject Company.
한국 작가로 구성된 그룹전 “13번째 망설임”이 아라리오갤러리 천안에서 2022년 3월 27일까지 개최된다.
전시는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기 시작한 1970년대에서 1980년대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30~40대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부모 세대보다 풍족한 환경에서 성장한 이 세대는 이제 세상에 미혹되지 않을 나이, 불혹(不惑)에 접어들었지만, 이들이 현재 접한 현실은 불안과 망설임으로 가득하다.
갤러리는 작가의 눈으로 본 현실의 다양한 문제를 비춰보고, 이를 공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전시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전시에는 한국 동시대 미술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13명의 작가가 참여했다. 참여 작가 중 이은실 작가와 이진주 작가는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해외 진출을 위해 온라인 아카이브와 아트 마켓 플랫폼을 준비 중인 K-ARTIST.COM에도 참여하고 있다.
Lee Eunsil, 'Line in Front of Us,' 2014, Colors and ink on Korean paper, 244x720 cm. "The 13th Hesitation," Arario Gallery. Photo by Aproject Company.
이은실 작가(b.1983)는 전통 한국화 재료와 기법을 활용하여 산수화와 한국 전통 건축 양식을 그린다. 하지만 작품은 ‘몸’에 대한 사회적 금기와 억눌린 욕망을 표현하고 있어 매우 적나라하다. 특히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는 넘치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존재이다. 마음껏 성본능을 드러내는 맹수는 우리 사회가 만들어낸 규범, 윤리적 기준 등 사회 구조 안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우리 내면의 욕망을 비추고 있다.
이은실 작가는 P21 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등 다수의 갤러리와 송은 아트스페이스, 두산갤러리 뉴욕, 대안공간 풀 등 여러 미술 기관 전시에 참여한 바 있다.
Lee Jinju, 'Dark Faces,' 2017, Mixed media on linen, 115x96.3cm, Lee Jinju, (Im)possible Scene, 2020, Korean color on linen, wood, 260(h)x60x63cm, Lee Jinju, 'Deceptive Well,' 2017, Korean color on linen, 260x528cm, "The 13th Hesitation," Arario Gallery. Photo by Aproject Company.
이진주 작가(b.1980)는 한국화 재료로 매우 섬세하고 정교한 드로잉을 한다. 정밀하게 그려낸 사물 하나하나는 매우 사실적이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사물들끼리 관련성도 없고 알 수 없는 위치에 흩어져 있어 기묘하고 비현실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작가가 실제로 한 경험, 꾸었던 꿈, 느꼈던 감각 등 기억에 기반한 심리적 풍경에 기인한다. 특히, 기억은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의 이치에 구애받지 않아 시공간을 넘나드는 입체적인 풍경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장면을 표현하기 위해 작가는 가상의 동떨어진 섬처럼 그림을 그리거나, 작품 자체를 입방체나 설치물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이진주 작가는 국립현대미술관, 아라리오뮤지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미술관과 아라리오갤러리,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등에 여러 미술 기관 전시에 참여했다.
그 외에도 “13번째 망설임”전에는 구지윤, 김인배, 노상호, 돈선필, 백경호, 백현주, 심래정, 안지산, 인세인 박, 장종완, 좌혜선 작가가 참여하고 있다.
Exterior view of Arario Gallery Cheonan. Photo by Aproject Comapny.
* 아라리오 갤러리는 1989년 천안에 개관하여 현재는 천안, 서울, 중국 상하이 3곳에서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 기반의 작가, 특히 국내에서 생소한 인도 및 동남아시아계 작가를 한국 미술계에 소개하는 갤러리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