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기 작가, 대중문화와 미술을 혼합해 '현재'를 비추다 - K-ARTNOW
이동기 (b.1967) 대한민국, 서울

이동기는 홍익대학교 회화과(1990) 졸업하고 동대학원 회화과 석사학위를 취득(1995)했다. 현재(2022) 피비 갤러리(PIBI Gallery)와 전속 계약을 맺고 활동하고 있다.

개인전 (요약)

이동기는 1993년 온갤러리(서울, 한국)에서 첫 개인전을 열였다. 같은 해 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아톰’과 미국 애니메이션 캐릭터 ‘미키마우스’를 합성하여 대중문화와 현실을 담아내는 캐릭터 ‘아토마우스(Atomaus)’를 탄생시켰다.

1994년 갤러리 보다(서울, 한국)에서 연 그룹전 《리모트 컨트롤》에서 처음 발표된 아토마우스는 예술장르와 만화의 혼합을 통한 한국적 팝아트의 캐릭터로서 작품의 주요 이미지로 지속하여 등장한다.

《이동기 개인전》(2002, 고바야시갤러리, 동경), 《스모킹》(2006, 원앤제이갤러리), 《버블》(2008, 윌렘커스붐갤러리, 암스테르담), 《이동기: 펜타곤》(2021, 피비 갤러리, 서울) 등에서 수차례 개인전을 가지며 아토마우스 외 에이맨(A-Man), 박스로봇(Box Robot) 등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과 한국 드라마 장면을 연출한 ‘소프 오페라(Soap Opera)’ 연작(2012~)을 선보였다. 2008년 갤러리2에서 가진 《더블 비전》 전시 이후 추상 회화 시리즈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그룹전 (요약)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일상, 기억, 그리고 역사’》(1997, 광주 시립 미술관, 광주, 한국), 《미디어시티서울 2000》(2000,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한국) 《애니메이트》(2005, 후쿠오카 아시아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Lead in Korea II》(2009, With Space Gallery, 베이징, 중국), 《퍼맨티드 소울》(2015, 워터폴맨션, 뉴욕, 미국), 《DMZ 아트 & 피스 플랫폼》(2021, 통일부 남북출입사무소 유니마루, 파주, 한국)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가하였다.

수상 (선정)

2008년 소버린 아시아 미술상 (소버린 예술재단, 중국) 후보에 오른 바 있다.

작품소장 (선정)

작품 소장처로는 국립현대미술관(과천, 한국), 서울시립미술관(서울, 한국), 금호미술관(서울, 한국), 윌록 프로퍼티(홍콩) 등이 있다.

주제와 개념

이동기는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대중문화와 예술의 관계를 탐구한다. 만화, 드라마, 광고, 인터넷, 서브컬처 같은 대중문화에서 광범위하게 유통되는 이미지와 고전미술작품, 모더니즘 회화, 추상미술을 아우르는 다양한 출처에서 시각적, 철학적 요소들을 차용한다. 그리고 가져온 이미지를 해체, 변형, 혼합, 중첩, 재구성하여 회화를 완성한다.

이동기는 흔히 한국 팝아트의 1세대, 아토마우스의 작가로 불린다. 틀린 평은 아니지만, 이 호칭이 그가 작품에 담아내는 다양한 문제의식을 포괄하지는 못한다. 1960년대의 앤디 워홀이 그러했듯, 그는 작업 초기인 1990년대부터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을 가르는 이분법적 사고에 도전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는 만화 캐릭터를 순수 예술 작품 전면에 도입한 최초의 한국 작가가 되었다.

그러나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그래픽적 요소와 만화 캐릭터로 인해 그를 단순히 ‘일러스트레이터’나 ‘만화가’로 분류하는 시선도 있었다. 이에 맞서 그는 한국 현대미술에 결핍되었던 ‘팝’을 고민하고, 앤디 워홀, 프랑크 스텔라, 게르하르트 리히터와 같은 순수 예술 작가들의 작업 언어를 참조해 창작함으로써 자기만의 종합을 완성해나간다.

“내가 관심 있는 것은 오로지 ‘내 자신의 작업’”이라고 말하는 이동기의 작업은 이제 한국 현대미술을 설명하는 주요한 이미지과 키워드로 자리잡았다. 최근 십여 년간 지속하고 있는 절충주의 작업, 그리고 2016년 전시 《심연》(Abyss, 갤러리2, 서울, 한국)에 보여준 고착화에 대한 경계, 2018년 전시 《Words》(갤러리2, 서울, 한국)에서 선보인 새로운 작품들을 보건대 그는 어떤 명칭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그렇게 자기만의 ‘보기’와 ‘그리기’로 나아가고 있다.

형식과 내용

“‘창조’하지 않으려고요. 저는 제 작품들이 전적으로 새로운 게 아니고,
과거의 이미지들을 전유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 이미지들에는 물론 미술작품들도 포함되겠죠.”


이동기가 창조한 캐릭터 ‘아토마우스’와 관련 연작 ‘버블’, ‘스모킹’은 그의 방법론을 잘 보여준다. 작가의 방대한 작품 세계에서 아토마우스는 자기가 존재하는 공간, 표정, 포즈, 복장 등의 무한한 변형과 자기복제를 지속한다.

이로써 작가는 ‘오리지널리티’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나아가 이미지·정보·언어 과잉의 시대적 현실과 ‘긴장’과 ‘균형’, ‘실제’와 ‘허구’의 충돌 사이에서 몸부림치는 현대인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담아낸다.

이동기는 만화적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작품 외에 만화의 한 페이지를 잘라내고 확대에 캔버스에 그리는 ‘코믹스(Comics)(1988~ ), 해외에 소개된 한국 드라마의 장면을 캡처해 그린 ‘소프 오페라’, 표현주의적인 요소가 담긴 올오버 ‘추상화(Abstract painting)’(2018~ ), 다양한 이중성을 암시하는 단어와 이미지, 그리고 추상적 패턴을 뒤섞은 ‘절충주의(Eclecticism).’ 등 다양한 갈래의 연작을 전개하고 있다. 2010년부터 그가 집중해온 절충주의 회화는 그의 회화의 핵심이 되는 혼종과 혼용, 그리고 충돌과 레이어링을 전면에 다룬다.

다수가 쉽게 소비하는 대중문화와 그 안에서 독자적 특질을 나타내는 서브컬처가 결합되어 더욱 입체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이 연작은 합리적이지 않은 의미 체계를 암시하며, 오늘의 문화현상과 현대사회의 단면을 드러낸다. 최근에는 문학, 미술, 음악, 작가의 메모 그리고 인터넷과 인쇄물에 추출한 단어들을 재배하는 작품 ‘words’를 선보이며 작품 세계를 더욱 확장하고 있다.

지형도와 지속성

이동기가 작업을 시작한 1990년대 한국은 문화변동의 시기였다. 민중미술이 퇴조하고,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에 불이 붙었다. 뉴미디어아트에 대한 관심도 일기 시작했다.

이런 시류 속에서 데뷔하여 ‘팝’을 고민하는 이동기의 작업이 주목을 받기는 하였으나, 아직은 한국 예술계에서 낯선 것으로 받아들였다. 국내의 이런 거부감에 반해, 무라카미 다카시를 위시한 일본의 팝 열풍이 세계를 휩쓸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 팝아트, 그리고 한국의 팝아티스트들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되면서 팝아트를 삶과 일상 속에 존재하는 시각 문화의 자기(비평적) 고백으로서 이해하는 시각이 자리 잡았고, 현대미술문화와 미술 시장이 확대되면서 팝아티스트들의 활동이 창작뿐만 아니라 기업과의 협업, 출판,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장으로 뻗어 나갔다. 이동기는 이러한 한국 미술계 흐름의 중심에서 있었던 작가다. 이동기와 홍경택, 김동유의 작품이 해외 옥션에 활발히 거래되었고, 한국에서 팝아트 붐이 본격적으로 일었다.

팝이 당초 이전 미술사조가 가지지 못한 대중과의 친화력으로 외연을 확장하듯, 이동기는 대중문화 또는 순수미술 어느 한 영역이 다 가지지 못하는 특유의 친화력과 매력을 가진 작업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 있다.

1991년 오스트리아 비인에서 열린 전시 《Sonnenschein》(칼-스트로블 갤러리)에 참여한 이래 동아시아, 미주, 유럽에서 전시와 아트 페어를 통해 꾸준히 작품을 선보이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더해가고 있다. 한편 BTS 멤버 제이홉의 싱글앨범 커버아트를 제작(2021)하고, 대기업과 협업하여 아트상품을 내놓는 등 대중과의 거리도 더욱 좁혀가고 있다.

이런 그의 작품 세계와 행보는 더는 ‘팝’ 안에만 머무르지 않으며 한국회화에 작품 내외적으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동기 작가, 대중문화와 미술을 혼합해 '현재'를 비추다
A Team

최근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 영향을 받은 예술 작품이 늘고 있다. 만화는 많은 사람이 어린 시절부터 즐기는 대중 문화로 공감과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이 되었으며, 우리가 지금 살아가는 시대를 잘 담아내는 장르이기도 하다.

국내에서 일찍이 만화에 관심을 갖고 그 이미지를 미술 영역에 본격적으로 담아내 많은 주목을 받은 작가가 있다. 바로 이동기 작가(b. 1967)이다. 그는 특히 ‘아토마우스’라는 캐릭터를 창조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Artist Lee Donggi. Photo by Moon So-young. © Moon So-young.

1993년에 처음 등장한 아토마우스는 미국 디즈니의 ‘미키 마우스’와 일본의 ‘아톰’을 합성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이동기 작가의 아토마우스는 문화 강국이었던 미국과 일본에 큰 영향을 받았던 한국의 모습을 풍자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여 융합적인 모습을 보이는 당시 한국을 비추는 거울이기도 하다.


Lee Donggi , 'Bubbles', 2008, acrylic on canvas, 120x120cm. Copyright of the Artist.

이동기 작가는 아토마우스를 창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작품 속 이야기를 전개하는 배우로 꾸준히 등장시킨다. 아토마우스는 고전 회화의 등장인물이 되기도 하고, 불상이 되기도 하며, 유명 록스타로 변신하기도 한다. 이동기 작가는 아토마우스를 통해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 구상과 추상,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등 이질적인 요소들을 융합한다.

아토마우스 외에도 이동기 작가는 ‘절충주의’ ‘추상화’ 연작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절충주의’ 연작은 만화, 광고 등 다양한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이미지들의 파편을 가져와 서로 겹쳐서 표현한다. ‘추상화’는 모자이크에 나오는 색면과 인쇄 망점을 확대한 듯한 이미지를 겹친 그림이다.


Partial installation view of "Pentagon" at PIBI Gallery, 2021.ⓒ Lee Donggi / PIBI GALLERY

이러한 이동기 작가의 작품 세계는 막 창작 활동을 시작하던 당시 한국 미술계의 주류를 이뤘던 모더니즘 미술인 추상 회화와 민중 미술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하면서 시작됐다. 그는 특히 다양한 현상을 하나의 요인으로 귀결하는 환원주의에 반대하고 현대예술의 다양하고 복잡한 특성을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달리 말하면 이동기 작가의 작품은 다양성을 사회적 가치로 두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Exhibition view of "LEE DONGI : 2015 ~ 2018." PIBI Gallery. Seoul, 2019.ⓒ Lee Donggi / PIBI GALLERY

이동기 작가는 국내 주요 미술 기관뿐만 아니라 미국, 독일, 네덜란드, 중국, 일본 등 다양한 국가에서 개인전을 펼쳤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과천), 삼성미술관 리움, 아트선재센터, 서울시립미술관,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윌록 프로퍼티(홍콩), 순얏센 기념관(타이페이), 하이트 콜렉션(서울) 외 다수의 기관과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재 이동기 작가의 작품은 7월 31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진행되는 그룹전인 “가면무도회”전에서 살펴볼 수 있다.

Articles

Editor’s P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