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profit_Exhibition
송은문화재단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 동시대 한국 미술의 미래 내다보기 ②
2023.01.02
A Team
Title image of "The 22nd SONGEUN Art Award Exhibition." SONGEUN, Seoul. (December 21, 2022, to February 18, 2023) ©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송은의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은 2022년 12월 21일부터 2023년 2월 18일까지 20명의 뛰어난 젊은 동시대 미술 작가들의 작업을 한자리에 모아 선보이고 이달 내에 2022년의 대상 수상자를 가릴 예정이다.
본선에 오른 20명의 작가로는 고재욱, 김영글, 김현석, 노은주, 박그림, 박아람, 박윤주, 손혜경, 안성석, 애나한, 이수진, 이희준, 장종완, 전보경, 전혜림, 전혜주, 정지현, 정희민, 최고은, 황원해가 있다.
20명의 작가들 중 지난 주에 소개된 10명의 작가들에 이어, 이수진 작가부터 황원해 작가까지 나머지 10명의 작가들을 이번 글에서 다룬다.
이수진(Jade Sujin Lee), '하울링 익스프레스 오버 하이퍼씨', 2022, 3채널 영상, 아연, 철, LED 모니터, LED라이트,가변설치, 9분 5초.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이수진(b. 1980)은 영상, 설치,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를 통해 도시화와 산업화 이후 소멸되는 가치에 주목한 작업을 펼쳐 왔다. 송은에서 작가는 영상과 설치로 이뤄진 작업을 통해 어떤 초월적인 서식지를 만들었다. 야생 동물과 미생물의 도피처, 울림과 진동, 흐름과 물성이 넘나드는 SF적 영토의 이야기를 만들어 다양한 가능성들이 내재한 세계를 상상한다. 영상 속에 등장하는 원형 홀, 둥근 벽체, 원형 계단 등의 장소에는 빛, 소리, 시간 그리고 달이 등장한다. 이들은 경계를 해체하고 미래적인 시간이 펼쳐지는 무대가 된다.
이희준(Heejoon Lee ), (왼) 'A Raindrop', 2022, 캔버스에 아크릴, 포토콜라주, 225x225cm, (오) 'The Rehearsal', 2022, 캔버스에 아크릴, 포토콜라주, 225x225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이희준(b. 1988) 작가는 가까운 주변부터 해외 여행지까지 도시 속 일상이 담긴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를 포토콜라주 기법으로 편집하고 물감으로 색면을 만들어 추상적 회화 작업을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 개인이 경험했거나 개인적으로 가고 싶은 장소를 회화로 표현한 평면 작업 3점과 설치 작업 1점을 선보인다. 이 중 작가는 ‘Mining the Moon’(2022)라는 평면 작업을 작은 크기로 다시 제작한 뒤 이를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Reconstruction no.4’(2022)를 만들었다. 해당 작업은 작가의 회화적 시도를 더욱 넓힌 작업으로 한층 더 다각화된 추상적 경험을 제시하고 있다.
장종완(Jongwan Jang), '뉴 슈가_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 2022, 리넨에 아크릴릭 과슈, 227.5x364.3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장종완(b. 1983) 작가는 회화를 통해 누군가는 상상해 봤을 법한 유토피아를 그린다. 하지만 다채로운 색을 활용해 표현한 긍정적이고 즐거워 보이는 이미지들 속에는 왠지 모를 낯섦과 불안감이 담겨 있다.
작가는 한국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진 꿀벌에 대한 기사를 접하고 어떤 불안감을 느꼈다. 해당 기사에 영감을 받아 그린 대형 회화 작업을 송은에서 선보인다. 그림 속에는 벌의 모습을 한 동물들이 어떠한 유토피아를 그리며 연극적으로 연출되어 있다. 장종완 작가는 근미래에 도달할 것만 같은 비극적 상황을 희극적으로 드러내며 인간 사회의 문제를 재고하도록 한다
전보경(Bokyung Chun), 'MiRRORING, 2022, 5채널 HD 영상, 13분.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전보경(b. 1979) 작가는 주로 영상을 통해 노동하는 사람들의 몸짓을 탐구하고, 그 몸짓 뒤에는 어떠한 치열한 현실이 담겨 있는지를 드러내는 작업을 한다. 최근 작가는 기계로 모두 대체되는 노동과 그로 인해 변화한 사람들의 몸짓에 관심을 갖고 작업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이제 창작마저 가능해진 인공 지능과, 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인간의 고유성을 질문하는 작업을 했다. 영상을 통해 작가는 서로를 미러링(타인의 행동을 따라하는 심리적 용어 또는 똑같은 데이터를 두 대의 하드 디스크에 동시에 기록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뜻하는 용어)하면서 변화하는 인공 지능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한다.
전혜림(Hye-rim Jun) '면면체-호작도', 2022, 캔버스틀 구조물 위에 캔버스천, 젯소, 아크릴, 유화, 234.7x224.5x167.5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전혜림(b. 1982) 작가는 고전적인 도상과 동시대 아이콘을 활용해 관례적인 회화 매체의 특성을 깨고 다양하게 변용한 작업을 펼쳐 왔다. 그리고 회화를 이루는 관념이 이미지를 통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탐구해 왔다. 따라서 그의 작업은 회화를 기본으로 하지만 다양한 형태를 갖게 된다.
송은에서는 캔버스의 앞면뿐만 아니라 뒷면과 옆면 모두에 색을 칠하고 캔버스를 서로 맞물려 벽이 아닌 스스로 서 있는 회화 작업을 만들었다. 앞뒤 좌우가 없는 캔버스를 만들어서 위치에 따라 이동해야지만 작품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감상을 도출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런 한편 ‘삼등산’(2022)이라는 작품에서는 오히려 입체 구조를 평면으로 만들었다. 작가는 삼등분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세 겹의 레이어로 겹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시차가 생기도록 만들었다.
전혜주(Hye-joo Jun), 'Hummer', 2022, 표본테이블, 수집된 식물과 꽃가루 표본, 레퍼런스 이미지, 초지향성 스피커, 가변설치, 2채널 사운드.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전혜주(b. 1985) 작가는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대상들을 탐구해 그 이면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특정 주제에 맞게 수집한 물질과 자료를 모아 조형물, 영상, 사운드 등을 이용한 시청각 미디어 작품을 만든다. 전혜주 작가는 대기 중에 부유하는 꽃가루를 우리가 평소에 인지하고 있지 않듯 군사 무기 기술도 그렇게 우리의 일상으로 상용화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꽃가루의 생태적 법칙과 군사의 시스템을 비교하여 보여 준다. 작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대상들이 우리의 신체로 서서히 침투하기 때문에 그 영향력에 대하여 쉽게 망각하게 된다는 점을 드러낸다.
정지현(Jihyun Jung), '컷슬로프 #6034', '컷슬로프 #6020', '컷슬로프 #6136,' 2022, 피그먼트 프린트에 실크스크린_90x70cm(왼쪽에서부터).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사진 작업을 하는 정지현(b. 1983) 작가는 출입이 제한된 재개발 지역의 건설 현장이나 철거 현장에 들어가 사진을 찍는다. 그러나 단순하게 그 풍경을 사진으로 담는 대신 작품에 직접 개입해 건설 현장에 변화를 주어 철거와 건축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한다. 작가는 변화하는 도시 환경을 기록해 건축 현장을 둘러싼 숨은 이야기를 작품으로 담고자 한다. 송은에서는 굴착 공사로 드러난 퇴적층을 촬영했다. 작가는 퇴적층이 담고 있는 시간성을 담는다. 그리고 여기서 나아가 사진 인화지 위에 실크스크린 기법을 사용해 디지털 사진이 기록하지 못하는 물질성을 강조해 평평한 사진이지만 어떠한 질감이 느껴지는 사진 작품을 만들었다.
정희민(Heemin Chung), '연결된 댄서들과 들뜬 밤', 2022, 아크릴 미디엄에 잉크젯 전사, UV 프린트, 라이트박스에 실, 194×530×10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정희민(b. 1987) 작가는 질료를 강조함으로써 기술이 만연한 시대에 살아가는 개인들이 마주하는 정서적 이슈와 회화 장르에서 관습적으로 다뤄지는 다양한 대상들을 드러내는 작업을 한다. 그는 특히 기술이 어떻게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지각 방식을 만들어 내고 그것이 미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추적한다.
벽면에 설치된 라이트 박스에는 아크릴 매체를 사용해 본뜬 대형 꽃들이 자리 잡고 있다. 작가는 작품 속 꽃들이 갖는 질감과 재료적 특성을 살려 오늘날 우리가 감각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모든 것이 디지털이라는 가상 세계 속에서 어떠한 흐르는 ‘상태’ 또는 ‘이미지’로 표현되는 오늘날, 물리적인 물질을 다룬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 그리고 실존은 어떻게 디지털화 되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최고은(Che Go Eun), '나의 른손이를 보셨습니까(물음표)', 2022, 시트지 프린트, 아크릴, UV프린트, 미러, 디크로익 필름, 라즈페리파이, 카메라, 250x150x350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최고은(b. 1988) 작가는 비디오 게임, 만화, 가상 세계의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사회 속의 여성, 그리고 잊혀 가는 여성들의 존재에 대해 연구한다. 동시에 항상 끊임없이 반복되는 광고로 둘러싸여 있는 서울의 모습을 포착하기도 한다. 송은에서는 한 평 남짓한 한국의 엘리베이터 공간을 작가만의 방식으로 구현해 놨다. 서로 마주한 거울이 설치된 한국의 엘리베이터는 감시 카메라와 수많은 광고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으며 무한히 반복되는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공간이다. 작가는 이러한 광고들이 정형화된 삶의 기준을 전파한다고 생각한다. 한껏 과장된 광고 이미지와 무한히 반복되는 마주한 거울 속에 관객의 모습을 비추는 카메라를 설치해 관람객들이 그 안에서 원하는 포즈를 취하며 이러한 사회를 되돌아 보게끔 한다.
황원해(Wonhae Hwang), 'Unwind', 2022, 캔버스에 아크릴, 240x223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황원해(b. 1989) 작가는 도시 공간을 관찰하고 그 공간에 대한 생각을 두루 펼치며 회화 작업을 한다. 작가는 과거와 현재가 혼재하는 건축적 요소를 합성하고 도시의 기하학적 요소와 패턴을 중첩시킨다. 작가는 도시만이 갖는 역동적이면서도 메마르고, 다수가 공유하면서도 각자의 기억 속에 파편적으로 존재하는 상반되는 도시적 감각을 불러 일으키고자 한다.
작가는 네모 또는 모듈이라는 도시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활용해 주관적인 감정을 더한 작업을 선보인다. 작가는 입체적인 도시의 외관뿐만 아니라 그를 보면서 작가가 느끼는 상반되는 감정을 평면에 담아 내고자 붓질, 드로잉, 에어브러시, 스크린톤 등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표현한다. 작가는 이를 통해 관람객이 도시를 새롭게 바라보고 사유하도록 제안한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