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된 공간 속에서 무한한 환상적 세계를 묘사하는 홍경택의 '서재' 시리즈 - K-ARTNOW
홍경택 (b.1968) 대한민국, 서울

홍경택은 경원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지금까지 서울에서 작업하고 있다.

개인전 (요약)

2000년 인사미술공간에서 첫 개인전인 《신전(神殿)》 (2000, 인사미술공간, 서울, 한국) 을 개최했다. 전시는 공모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전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작가는 이 전시를 통해 미술계에 공식적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자신만의 분명한 세계를 찾고 있는 젊은 작가로 작품의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05년 아르코 미술관 재개관전을 기념해 열린 개인전에서 《Funkchestra》 (2005, 아르코 미술관, 서울, 한국) 라는 새로운 형식의 연작을 선보였다.

이전까지는 일상적인 사물들 (책, 연필, 펜 등) 을 주제로 했다면 ‘훵케스트라’ 시리즈는 음악을 주제로 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의 진동과 멜로디를 색채와 조형으로 표현하며 유명인사들과 기호, 텍스트를 결합시켰다.

작가는 두산갤러리 뉴욕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는데 이때 《Pens》 (2010, 두산갤러리, 뉴욕, 미국) 를 개최했다. 이 전시에는 화려한 색채의 다양한 볼펜과 연필들을 빽빽하게 모아 놓은 ‘Pen’ 연작 중 두 작품을 선보였는데, 이중 Pen 3 은 2000년부터 10년에 걸쳐 완성한 작품으로, 이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였다.

2019년 《Great Obsession》 (2019, 인당 뮤지엄, 대구, 한국) 전시를 진행했다. 이 전시는 홍경택의 작품 활동 초창기부터 당시까지의 작품세계를 총망라할 수 있는 전시로 작은 회고전의 개념이었다. ‘펜’, ‘서재’, ‘훵케스트라’, ‘손’ 시리즈와 함께 작가가 수집한 소장품까지 59점을 전시했다.

그룹전 (요약)

작가는 2007년에 한국현대미술을 해외에 알리고자 하는 취지에서 진행된 단체전 《한국현대미술 중국전:원더랜드》 (2007, 베이징 국립미술관, 베이징, 중국)에 참가하였다.

이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주관으로 당대 한국에서 전도유망한 작가들을 선정했다. 홍경택, 권오상, 이형구, 최우람 등 현재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 41점을 해외에 소개했다.

같은 해 칠레의 산티아고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한국 현대미술 중남미 순회전 – 박하사탕》 전 에도 참여했는데 이 전시는 2008년에 아르헨티나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옮겨 전시를 이어 나갔다. 이 전시를 통해 아시아 뿐만 아니라 남미에서도 작가의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2012년 두산갤러리가 재개관 기념 전시 《RE-OPENING DOOSAN GALLERY SEOUL》 에 참여했다. 이 전시에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두산 레지던시 뉴욕 입주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였다.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작가들이 선정되어 그들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자리였다.

이외에도 《한 ․ 일 현대미술특별전 – 참 우정의 형태》 (2005, 세종문화회관, 서울, 한국), 《Wall Screen Project: 움직이는 훵케스트라》 (2013, 삼성 리움 미술관, 서울, 한국), 《디지 펀 아트 : 도시풍경》 (2015,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비포 더 비기닝 에프터 디 엔드》 (2016, K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A different Similarity》 (2009, 센트럴 이스탄불 미술관, 이스탄불, 터키) 등 국내외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했다.

수상 (선정)

작가는 2013년 ‘제 14회 이인성 미술상’ 을 수상했다. 작가는 최연소 수상자로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앞으로 한국 동시대 미술계를 이끌어 나갈 역량이 있는 작가라고 평가받았다.

심사위원진은 디자인과 회화, 팝아트와 사실주의를 혼합한 조형성은 물론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으로 포스트-포토 페인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작품소장 (선정)

작품 소장처로는 국립현대미술관(서울, 한국), 삼성 리움 미술관(서울, 한국) 일민미술관(서울, 한국), 두산갤러리(서울, 한국) 아모레퍼시픽(서울, 한국) 등이 있다.

주제와 개념

홍경택은 펜, 연필, 책 등 일상적인 소재로 현대인의 집착적인 욕망이라는 주제의 작업을 오래 해왔다. 형형색색의 원색으로 캔버스를 채운 ‘연필’ 또는 ‘펜’은 “순간적인 화려함, 훔쳐보기의 장치들, 유아적이고 촉각적인 물건의 배치, 이들은 에로틱함과 함께 그의 부산물인 공허를 이끌어” 내는 장치다.

펜은 일상의 사물이기에 일견 가벼운 소재일 수 있으나 작가는 펜 뚜껑의 형태로 등장하는 해골, 인형 등의 알레고리, 집적된 화면 구성, 글쓰기의 무게라는 진중함의 암시로 현대인의 이중적이며 강박적인 욕망을 다룬다.

‘서재’ 연작은 조선 후기 책가도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밀폐된 듯 보이는 서가를 플라스틱 같은 매끈한 질감의 책과 홀로 있는 인물, 전통 회화의 도상으로 채운다. 은둔하는 선비의 공간을 현대적으로 변용함으로써 현대인의 충돌하고 증식하는 욕망을 녹여낸다.

홍경택은 일상적인 사물이라는 소재의 가벼움을 통한 욕망의 표현을 넘어서서 삶과 죽음, 종교와 세속 등 다양한 삶의 속성에 대해 말하는 작품으로 나아간다.

펑크와 오케스트라의 합성어인 ‘훵케스트라’를 제목으로 한 일련의 작품들이 색감과 흑백, 패턴(추상)과 리얼리즘, 성과 속, 폐쇄와 분출,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회화와 디자인, 종교와 포르노를 교차하는 그의 진일보한 작품세계를 잘 보여준다.

한편 2014년 개인전 《그린 그린 그래스》(페리지 갤러리, 서울)에서 전시한〈반추 1〉(2013),〈서재-골프장〉(2014),〈연필그림-여섯 개의 하늘〉(2014) 등에 풍경이 등장한다. 형식적으로는 우주, 서재 등을 배경으로 패턴화된 사물이 등장하는 그의 전형적인 작품이다.

그러나 골프채에 작가와 작업실의 모습이 반사되거나, 동심원을 그리는 하늘 위에 연필이 그려지고, 서재와 골프장 풍경이 결합된다. 이로써 작가는 공간을 중첩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차원에 질문을 던지면서, 인공적이지 않은 소재로 인간의 꿈과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풍경을 표현하는 변화를 보인다.

이 외에도 홍경택은 두 손을 중심으로 다양한 도상을 접목해 신성과 악마성, 그리고 인간성을 표현하는 ‘모놀로그’ 연작, 기계와 생명의 대비를 통해 고통을 고민하는 ‘곤충채집’ 연작 등도 선보였다.

“종교에서 포르노까지 우리 시대의 모습을 생생한 날것 그대로 그리고 싶다.”는 홍경택의 말처럼, 그의 작업은 현대의 시각정보에 대한 감각의 추구와 함께 존재성 및 양가성에 대한 고민이자 하나의 작가적 컬렉션이다.

형식과 내용

1960년대 팝아트에서부터 고급문화인 순수 회화에 대중문화의 아이콘이 끼어들기 시작했다. 따라서 현란한 원색과 강한 대비의 색감, 리듬감 있는 화면 구성, 일상적 소재와 대중문화의 아이콘 차용이라는 특징을 지닌 홍경택은 한국의 팝아트의 중요한 한 장을 기록한다.

그러나 그의 작업을 단순히 팝아트라는 장르로만 분류하기에는 그 스펙트럼이 넓다. 오히려 대중문화와 미술이라는 장르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비판적인 시선으로 동시대성에 대응해온 작가라는 평이 더 적절할 듯하다.

‘휑케스트라’ 에서 보이는 선동적인 굵은 고딕체의 글자와 사실주의적인 묘사의 결합은 전통적인 포스터의 형태를 떠올리게 한다. 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해골과 나비 같은 바니타스 회화의 전통적인 도상들은 전통 회화와의 연결점을 시사한다.

한편, 〈Urban Symphony〉 (2016)과 같은 영상 작업으로 발표하거나 색실로 공간을 채운 설치작품 〈코쿤〉(2007)과 이를 패션 디자이너와 협업하여 재구성하여 《VOGUE: Fashion into Art》 전시에 선보이기도 했다. 이처럼 홍경택은 소재와 형식 면에서도 한 자리에 머물지 않으며 꾸준히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다.

지형도와 지속성

홍경택은 한국 현대미술계의 발전, 그리고 미술시장의 국내외적 성장과 함께 걸어온 작가이다. 전 세계 현대미술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을 이룬 2000년대는 한국 미술 시장의 활황기이기도 했다.

당시 국내 갤러리들이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국내 작가를 공격적으로 해외에 소개하고 있었고, 홍경택은 유수의 옥션과 아트페어에 활발하게 참가해왔다. 그의 작품 〈연필 1〉이 2007년 홍콩 크리스티 경매 등에서 한국 작가 최고가를 경신한 이래, 그는 세계 미술시장에서 안목 높은 컬렉터들의 눈길을 사로잡아 왔다.

그는 작업 초기에는 주로 해외 아트페어와 경매에서 작품을 팔고 국내에서는 미술관 위주로 전시하는 방식으로 상업성과 예술성 사이의 균형을 잡아왔다. 그러나 그의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으면서, 국내에서는 100차례 이상의 그룹전 참가하여 작가로서 입지를 다졌다.

《한국 현대미술 러시아》(2008, 더 센트럴 하우스 오브 아티스트, 모스크바, 러시아), 《한국 현대미술 중남미 순회전: 박하사탕》(2008, 아르헨티나 국립현대미술관,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A Different Similarity》(2009, 산트랄 이스탄불 미술관, 이스탄불, 터키 / 2010, 보훔 뮤지엄, 보훔, 독일)에 참가하는 등 해외 미술계에도 작품을 널리 선보이고 있다.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의 다리를 이어온 홍경택의 최근 행보는 더욱 새롭다. 작가의 작품 스타일과 스테이트먼트를 딥러닝한 인공지능 기술로 예술과 기술을 결합한 창작물을 선보인 기획전 《Art match-mashups: 예술을 배운 기계, 인공지능을 만난 예술의 융합》 전시(2021, 영은미술관, 서울)에 참가하였다.

또한 NFT 작품을 발표하고 NFT 작품과 디지털 아트를 주제로 한 전시 《Amulet: 호령》에 참가하는 등 작가로서의 활동 반경과 작품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폐쇄된 공간 속에서 무한한 환상적 세계를 묘사하는 홍경택의 '서재' 시리즈
A Team

홍경택 작가는 조선의 책거리 그림에서 발견한 현대적 요소에 매료되어 ‘서재’ 연작을 시작했다. 책장과 서적으로 채워진 공간을 표현한 ‘서재’ 연작은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 갇힌 세계와 무한의 세계, 동양과 서양, 개인의 서사와 인류의 문명, 수직과 수평, 하늘과 땅 등 서로 대비되는 대상과 함께 다양한 공간적 요소를 표현한다.


Exhibition view of Yooyun Yang's solo exhibition at the Amado Art Space/Lab, Seoul. (September 6 -September 29, 2019). Courtesy of the Amado Art Space/Lab.

1980대 말에서 1990년대 초 한국 미술계는 단색화 계열과 민중 미술로 양분되어 있었다. 한국 미대 교수들은 단색화와 같은 추상 계열의 미술을 가르쳤고, 거리에는 사회 변혁을 꿈꾸는 젊은이들의 걸개그림이 걸려 있었다.

그런 미술계 풍토에 편입되길 원하지 않던 작가들은 뒤에서 새로운 미술 흐름을 찾고자 해외로 유학을 가거나 각자만의 길을 개척해 나갔다.

그 시절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 세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한 작가 중 한 명이 홍경택 작가이다. 홍경택 작가는 2007년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연필 I’이라는 작품이 최고가에 낙찰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많은 국내 언론 매체에서 홍경택 작가를 최고가 낙찰을 달성한 작가로 소개해 왔다. 하지만 최고 낙찰가 작가라는 타이틀에 빠져 다종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홍경택 작가의 작품 세계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단색화나 민중 미술 운동과는 다른 길을 모색하던 홍경택 작가는 대학 3학년 때부터 정물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물을 묘사하는 것에 대한 그의 관심은 그 이전부터 이어져 왔다.

가정용 인터넷이라는 것이 거의 없던 시절 한국 미대생들은 새로운 정보를 접하기 위해 다양한 책을 펼쳐 놓고 판매하는 노점을 이용했다. 그리고 홍경택 작가는 대학교 1학년 시절 우연히 한 노점에 놓인 “이조의 민화(李朝の民畵)”라는 책을 보게 된다. 그는 거기에 나오는 조선의 책가도(冊架圖), 우리말로 ‘책거리 그림’에 매료되었다.


Yi Eungrok, 'Scholar's books and things,' Created: between circa 1860 and circa 1874. Courtesy of the Asian Art Museum San Franscisco .

당시 홍경택 작가에게 있어서 조선 시대 책거리는 놀라울 정도로 현대적이었다. 특히 공간을 구성하는 사물과 그림의 전체적인 구성이 독특했다. 책거리 그림에는 보는 사람과 가까운 대상은 좁게, 먼 대은 넓게 묘사하는 역 원근법이 사용되었으며, 한 화면 안에 여러 시점을 넣은 다시점적으로 입체감이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책거리는 중국의 장식장 ‘다보각경(多寶格景)’을 표한 것으로, 진열장에 놓인 여러 귀중품을 묘사한 그림이다. 그리고 다보각경은 서양 르네상스 시대의 진기한 사물을 전시하는 공간인 ‘호기심의 방’에 영향을 받았다.

조선 시대의 책거리는 서양 화법인 명암법과 더불어 원근투시법적 요소를 수용한 양식을 보이기도 다. 이러한 책거리는 조선 시대 정조 때 크게 유행했다. 이후 19-20세기 민간에까지 계속 인기를 끌며 일반 대중 사이에서 널리 퍼진 양식이 되었다.

홍경택 작가는 동서양의 문화가 공존하는 그림 양식인 조선 책거리에 영감을 받아 ‘서재’ 연작을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거기서 더 나아가 자신만의 독자적인 관점으로 작품 세계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서재’ 연작에서는 책장을 통해 표현하는 공간적, 시간적 요소가 돋보인다.


Hong Kyoungtack (홍경택), ‘Library-Mt. Everest (서재 - 에베레스트산),’ 2014, Acrylic and oil on linen, 194x259 cm.

홍경택 작가의 ‘서재’ 연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밀폐된 공간의 묘사이다. ‘서재’ 연작에는 방 한가득 채워진 책장 안에 책이 빼곡하게 꽂혀 있다. 어떤 작품에서는 그 책들이 마치 쏟아져 내리기 직전의 모습을 하고 있고, 때로는 실내에서 바라본 어떤 풍경의 모습이 담겨 있지만 그마저도 어딘가 꽉 차 보이기도 한다.

작가가 묘사한 서재는 물리적으로 한정된 공간으로 보이지만 내재된 관념적 세계는 무한히 확장되어 있다. ‘서재’ 연작에서는 ‘서재’라는, 어쩌면 가장 이상적인 공간에서 비이성적이면서도 판타지적 상황들이 펼쳐진다. 홍경택 작가가 표현하는 서재의 공간은 동굴처럼 보이기도 한다. 마치 옛 선조들이 동굴 벽에 사냥하는 장면을 그림으로써 이것이 실제 상황과 연결된다고 믿었듯, 또는 우리가 밀폐된 영화관에서 새로운 세계를 엿보듯, 작가는 갇힌 공간에서 환상의 세계가 무한히 펼쳐지는 모습을 보여 준다.

나아가 책은 인류의 지식과 문화, 역사를 비롯한 수많은 정보가 집적되어 있는 물건이다. 또한 과거에 쓰여진 책이라도 미래 세대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책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된다.

저마다 독특한 색을 가진 그림 속 책들은 각기 다른 세계관을 암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작가의 세계관을 드러내는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최근 작가가 ‘서재’ 연작에서 영감을 받아 시도하기 시작한, 한 권의 책을 그린 작품들이다.

작품 속 책은 동물이나 사물을 관통하고 있어 마치 책이 이들을 결박한 것처럼 보인다. 책 하나하나에는 저마다 거대 서사가 담겨 있다. 마치 모든 생명체가 개별적 삶의 서사를 가지고 있듯이 말이다. 하지만 우리가 타인의 세계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으며 개인의 세계 안에 갇혀 살듯, 그림 속 책들은 무한한 세계를 암시하는 동시에 개인의 삶에 내재된 한계와 억압을 드러낸다.


Hong Kyoungtack (홍경택), ‘Library – Paradise(서재 - 낙원), 2016, Oil on linen, 162x130 cm.

홍경택 작가의 작품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감상한다면 구상 회화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직선과 사각형으로 구성된 책의 형태와 각 면의 색채가 어우러져 추상적 요소가 가미된 색면 회화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이는 작가가 책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인 네모 모양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작가가 생각하기에 사각형은 인간과 세상을 가장 잘 드러내면서도 완벽한 형태이다. 원 또한 완벽한 형태라고 불린다. 하지만 원은 어딘지 불안정한 심리를 일으킨다. 또한 원은 하늘과 신을 상징하지만 인류는 오랫동안 지구가 평평하며 네모나다고 믿었듯 사각형은 인간과 지구를 상징하기도 한다. 또한 사각형은 종과 획으로 이뤄진 안정적인 형태이며, 사각형을 구성하는 수직과 수평은 신과 인간 모두를 아우른다.

홍경택 작가의 회화 작품들 작가의 내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대중문화와 고전, 삶과 죽음, 동양과 서양, 종과 획 등이 대표적이다. ‘서재’ 연작에도 다양한 요소들이 들어가 있다.

홍경택 작가의 ‘서재’ 연작은 이질적이면서도 서로 대비되는 대상을 동시에 담은 하나의 공간이다.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 갇힌 세계와 무한의 세계, 동양과 서양, 개인의 서사와 인류의 문명, 수직과 수평, 하늘과 땅, 구상과 추상 등 작가의 내면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들이 하나의 화면에 모두 담긴 연작이다.

References

Articles

Editor’s Picks